공개대학
2020 봄학기 2020.3.12~5.28 | ||
---|---|---|
주제 | ‘하느님의 종’ 근·현대 신앙의 증인의 삶과 순교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패트릭 번 주교 | 이민석(한국교회사연구소) |
제2강 | 장정온 수녀 외 1위 | 주예진 수녀(영원한 도움의 성모 수도회) |
제3강 | 마리 메히틸드 수녀 외 1위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4강 | 베아트릭스 수녀 외 2위 | 오규현 수녀(계성고등학교) |
제5강 | 데지레 폴리 신부 외 12위 | 김정환 신부(대전가톨릭대학교) |
제6강 | 앤서니 콜리어 신부 외 6위 | 이원희(춘천교구 교회사연구소) |
제7강 | 신상원 주교 아빠스 외 37위 | 장정란(동국대학교) |
제8강 | 홍용호 주교 | 우요한 신부(서초동 본당) |
제9강 | 김선영 신부 외 용산 예수성심신학교 출신 신부들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10강 | 김정희 외 명동 본당을 지킨 평신도 4위 | 양인성(한국교회사연구소) |
2021 가을학기 2021.9.30.~12.2 | ||
---|---|---|
주제 | 한국교회의 시작과 신앙공동체의 모습 | |
제1강 | 개강 미사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2강 | 조선 후기 서학의 수용과 유학자들의 반응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3강 | 조선 천주교 신앙공동체 설립 | 양인성(한국교회사연구소) |
제4강 | 초기 교회의 신자들과 신앙생활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5강 | 윤지충과 권상연의 순교 | 이민석(한국교회사연구소) |
제6강 | 주문모 신부의 입국과 활동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7강 | 신유박해와 순교자들 | 이민석(한국교회사연구소) |
제8강 | 황사영 백서 사건 | 이민석(한국교회사연구소) |
제9강 | 조선 신자들의 교회 재건 | 양인성(한국교회사연구소) |
제10강 | 종강 미사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2022 봄학기 2022.3.10~6.9 | ||
---|---|---|
주제 | 순례, 영혼을 깨우다 | |
제1강 | 개강 미사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2강 | 순례길에 오른 사람들 : 중세 기독교 세계의 순례 문화 | 성백용(한남대학교) |
제3강 | 중세 예루살렘 순례 패키지 여행 | 남종국(이화여자대학교) |
제4강 | 캔터베리 이야기 : 중세의 순례와 꽃놀이 여행 | 손현주(서울대학교) |
제5강 | 자신을 구원하는 산티아고 순례길 | 박용진(서울대학교) |
제6강 | 국내 성지 순례 : 여주 부엉골 | |
제7강 | 무슬림의 메카 순례를 통해 이슬람 문화 엿보기 | 김능우(서울대학교) |
제8강 | 11세기 무슬림 나시르 후스로우의 예루살렘 순례 | 이주연(경상대학교) |
제9강 | 인도로 떠났던 상상의 여행길 : 중세 불탑 건축과 순례문화 | 김연미(이화여자대학교) |
제10강 | 관음보살을 찾아 떠나는 여행 : 일본 사이구쿠 순례 | 최선아(명지대학교) |
제11강 | 순교와 증거의 발자취 : 한국천주교 순례길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12강 | 종강 미사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2022 가을학기 2022.9.15~11.17 | ||
---|---|---|
주제 | 복자와 성인 바로 알기 | |
제1강 | 개강 미사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2강 | 시복 · 시성의 절차와 103위 성인의 탄생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3강 | 한국교회와 124위 복자 | 유은희 수녀(한국순교복자수녀회) |
제4강 | ‘하느님의 종’ 133위 | 여진천 신부(수원가톨릭대학교) |
제5강 | 최양업 신부의 시복 추진 과정 | 차기진(양업교회사연구소) |
제6강 | 덕원의 순교자들 38위 | 오윤교 신부(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 |
제7강 | ‘하느님의 종’ 81위 | 이민석(한국교회사연구소) |
제8강 | 최양업 신부 관련 사적지(‘희망의 순례자’) | 여진천 신부(수원가톨릭대학교) |
제9강 | 시복 · 시성의 의미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10강 | 종강 미사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2023 봄학기 2023.3.16~5.25 | ||
---|---|---|
주제 | 교회사, 생태와 환경을 말하다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강의 소개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2강 | 조선이 겪은 기후 변동과 재해, 그리고 인간사회의 대응 | 김미성(연세대 국학연구원) |
제3강 |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한국천주교회의 환경 인식 | 김상현(서강대 트랜스내셔널연구소) |
제4강 | 박해시기 순교와 감옥생활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
제5강 | 1925년 을축년 대홍수와 한국천주교회 | 이민석(한국교회사연구소) |
제6강 | 근대적 질병에 대한 인식 변동 : 문둥이에서 한센병 환자로 | 이남희(이화여자대학교) |
제7강 | 1960~80년대 한국천주교회의 협동조합운동 | 김소남(국사편찬위원회) |
제8강 | 성지순례와 환경 문제 | 이우갑 신부(원주교구 부론 본당 주임) |
제9강 | 한국천주교회의 생태운동 | 이재돈 신부(서울대교구 환경사목위원회) |
제10강 | 종강미사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2023 가을학기 2023.9.6~11.1 | ||
---|---|---|
주제 | 대한민국 - 교황청 수교 60 주년 기념 “Hello 대한민국 Hello 교황청” | |
제1강 | 박해시기 교황청과 한국 천주교회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제2강 | 대한민국과 교황청 | 이민석(한국교회사연구소) |
제3강 | 한반도 평화와 교황청 | 이백만(제15대 주교황청 한국대사) |
제4강 | 우리 시대 교황 | 전달수 신부(안동교구 원로 사제) |
제5강 | 교황 방한(訪韓), 평화와 희망의 미래 | 한홍순(제12대 주교황청 한국대사) |
제6강 | 교황님과 나의 30년 이야기 | 정종휴(제14대 주교황청 한국대사) |
제7강 | 교황청 조직과 바티칸뉴스 | 이재협(서울대교구 홍보위원회) |
제8강 | 종강미사 | 조한건 소장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
공개대학
2010 봄학기 2010.3.11~5.27 | ||
---|---|---|
주제 | 원전 자료를 통해 신앙 선조들을 만나다-나는 조선의 신자올시다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사료(史料) 이해 | 김성태 신부 |
제2강 | 이승훈·유항검과 구베아 주교의 편지 | 방상근 수석연구원 |
제3강 | 윤지충의 〈옥중수기〉와 〈공술기〉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4강 | 인심과 영혼 공부-정약종과 《주교요지》 | 조한건 신부 |
제5강 | “살아있는 자들은 죽음으로 진리를 지켜야 합니다”-황사영과 〈백서〉(1) | 이장우 연구실장 |
제6강 | “앉아서 죽음을 기다릴 수는 없습니다”-황사영과 〈백서〉(2) | 이장우 연구실장 |
제7강 | 옥중에서 써내려간 세 남매의 편지-이순이·이경도·이경언 | 백병근 연구원 |
제8강 | 조선 교우들, 교회 재건에 나서다-1811년과 1824년의 〈편지〉 | 양인성 연구원 |
제9강 | “나를 책망하고 천주를 흠숭하노라”-최해두와 〈자책문〉 | 최선혜 책임연구원 |
제10강 | “여러분의 소원이 드디어 이루어졌습니다”-브뤼기에르 주교의 〈편지〉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11강 | 만물과 양심과 성경의 증거-정하상과 〈상재상서〉 | 조한건 신부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0 가을학기 2010.9.9~11.25 | ||
---|---|---|
주제 | 나는 조선의 신자올시다Ⅱ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 김성태 신부 |
제2강 | 1839년의 《군난일기》 | 방상근 수석연구원 |
제3강 | 감옥 안에서…: 김대건 신부와 〈옥중편지〉 | 최선혜 책임연구원 |
제4강 | 7천 리 선교의 기록: 최양업 신부의 〈편지〉 | 양인성 연구원 |
제5강 | 한국의 시편 《천주가사》 | 조한건 신부 |
제6강 | 한국 천주교회 최초의 지도서: 베르뇌 주교의 〈윤시제우서〉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7강 | 한말 어느 전교회장의 회고: 김기호의 〈봉교자술〉(1) | 백병근 연구원 |
제8강 | 구역장·반장이 지녀야 할 소공동체 영성 | 백병근 연구원 |
제9강 | “우리는 다 천주의 것이다”: 칼레 신부의 〈서한〉 | 최선혜 책임연구원 |
제10강 | 조선 선교사를 위한 활동지침: 차쿠(岔溝) 회의록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11강 | 10%의 기록: 《치명일기》 | 방상근 수석연구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1 봄학기 2011.3.17~6.16 | ||
---|---|---|
주제 | 사귐과 섬김으로 믿음을 키우다-한국 교회의 소공동체 전통과 전망 | |
제1강 | 가톨릭교회의 공동체 | 김성태 신부 |
제2강 | 조선 유교 사회의 공동체(1)-양반과 문중 | 이장우 연구실장 |
제3강 | 조선 유교 사회의 공동체(2)-조선 시대의 평민과 계(契) | 이장우 연구실장 |
제4강 | 신앙 공동체의 초석이 된 명도회 | 양인성 연구원 |
제5강 | 박해 시대 교우촌의 형성과 신앙생활 | 최선혜 책임연구원 |
제6강 | 박해 시대 평신도 지도자들의 활동 | 방상근 책임연구원 |
제7강 | 한말·식민지 시대 공소와 회장의 역할 | 백병근 연구원 |
제8강 | 구역장·반장이 지녀야 할 소공동체 영성 | 이준성 신부(사목국 일반교육부) |
제9강 | 소공동체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 조한건 신부 |
제10강 | 공동체 사회의 산책과 예수살이 | 박기호 신부(예수살이 공동체) |
제11강 | 한국의 소공동체는 성공할 수 있는가? | 변우찬 부소장 신부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1 가을학기 2011.9.15~11.24 | ||
---|---|---|
주제 | 천주교, 다른 종교와 소통하기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비 그리스도교와의 대화 | 김성태 신부 |
제2강 | 천주교와 무교신앙(巫敎信仰) | 최선혜 책임연구원 |
제3강 | 천주교와 불교 | 최선혜 책임연구원 |
제4강 | 천주교와 유교 | 이석균 신부(돈암동 보좌) |
제5강 | 천주교와 《정감록》 | 이장우 연구실장 |
제6강 | 천주교와 동학 | 방상근 수석연구원 |
제7강 | 천주교와 개신교(1)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8강 | 천주교와 개신교(2)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9강 | 천주교와 사적 계시 | 손희송 신부(가톨릭대학교) |
제10강 | 천주교와 신(新)영성운동 | 노길명 교수(고려대학교 명예교수)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2 봄학기 2012.3.15~6.7 | ||
---|---|---|
주제 | 인물로 보는 한국교회사Ⅰ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개항기~일제시대 인물들 | 조한건 신부 |
제2강 | 한국교회 사학자 피숑 신부 | 조한건 신부 |
제3강 | 교회의 교육사업과 청년 사업을 이끈 박준호, 박병래 등 | 양인성 연구원 |
제4강 | 페낭 신학교 출신 사제들: 강도영, 강성삼, 정규하 | 방상근 연구실장 |
제5강 | 메리놀 외방전교회 모리스 몬시뇰 | 양인성 연구원 |
제6강 | 한국에 입국한 최초의 수녀들: 자카리아, 에스텔, 비르지타, 프란치스카 수녀 | 오규현 수녀(샬트르 성 바오로 수도회) |
제7강 | 한국인 최초의 수녀 ‘박황월’ | 오규현 수녀 |
제8강 | 교회 사회문화사업의 거목 양기섭 신부 | 백병근 연구원 |
제9강 | 한국인 사제 양성에 일생을 바친 기낭 신부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10강 | 장호원 성당지기 부이용 신부 | 백병근 연구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2 가을학기 2012.9.13~11.29 | ||
---|---|---|
주제 | 인물로 보는 한국교회사Ⅱ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강의 소개소주제: 사랑의 거인 | 김성태 신부 |
제2강 | 나환우의 대부 ‘이경재 신부’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3강 | 가장 낮은 곳에서 하느님의 뜻을 실천한 ‘델랑드 신부’소주제: 가톨릭 문화인 | 이종녀 수녀(예수성심시녀회) |
제4강 | 가톨릭 문필가 ‘김익진’ | 조광 교수(연세대 석좌교수) |
제5강 | 〈보리밭〉의 작곡자 ‘운용하’ | 백병근 연구원 |
제6강 | 신앙과 시 ‘정지용’소주제: 교회와 민족을 생각하다 | 양인성 연구원 |
제7강 | 일제하 민족 운동에 앞장선 ‘최익형’ | 백병근 연구원 |
제8강 | 교육자·종교인·정치인 ‘장면’ | 노길명 교수(고려대학교 명예교수) |
제9강 | 독립운동가, 제주 여성 교육의 선구자 ‘최정숙’소주제: 현대의 순교자 | 양인성 연구원 |
제10강 | 신사참배, 그리고 죽음의 행진 ‘카다스 신부’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11강 | 중국 애국교회를 거부한 신앙의 증거자 ‘김선영 신부’ | 방상근 연구실장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3 봄학기 2013.3.14~5.30 | ||
---|---|---|
주제 | 하느님의 종’ 125위의 삶과 신앙Ⅰ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신학적 관점에서 본 순교와 순교자 | 김성태 신부 |
제2강 | ‘하느님의 종’ 125위의 선정과 시복 절차 | 류한영 신부(CBCK 관리국장) |
제3강 | 진산사건, 북산사건의 순교자: 윤지충 외 5인 | 조현범 교수(한국학중앙연구원) |
제4강 | 정사년(1797년)의 순교자: 이도기 외 7인 | 조현범 교수 |
제5강 | 신유박해 순교자: 최창주 외 10인(경기도)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6강 | 신유박해 순교자: 황일광 외 4인(충청도)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7강 | 신유박해 순교자: 이순이 외 8인(전라도)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8강 | 신유박해 순교자: 강완숙 외 7인(서울의 여성 순교자) | 유은희 수녀(한국순교복자수도회) |
제9강 | 신유박해 순교자: 정약종 외 7인(주문모 신부와 양반 신분의 서울 순교자)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10강 | 신유박해 순교자: 최창현 외 10인(중인 · 양인 신분의 서울 순교자) | 방상근 연구실장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3 가을학기 2013.9.12~12.12 | ||
---|---|---|
주제 | 하느님의 종’ 125위의 삶과 신앙Ⅱ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순교의 대체 신심 | 김성태 신부 |
제2강 | 김진후 비오와 을해박해(1815) 순교자(1) | 방상근 연구실장 |
제3강 | 을해박해(1815) 순교자(2) | 방상근 연구실장 |
제4강 | 조숙 · 권천례 동정 부부(1819)와 정해박해(1827) 순교자 | 서종태 교수(전주대학교) |
제5강 | 원주-대구의 기해년(1839) 순교자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6강 | 전주의 기해박해 순교자(1)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7강 | 전주의 기해박해 순교자(2)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8강 | 병인박해기 서울·경기·충청도 순교자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9강 | 병인박해기 경상도 순교자(1)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10강 | 병인박해기 경상도 순교자와 윤봉문(2)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11강 | 최양업 신부와 이성례 마리아 | 차기진 소장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4 봄학기 2014.3.13~6.12 | ||
---|---|---|
주제 | 한국 천주교회사 강의Ⅰ-교회 설립부터 신유박해까지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가톨릭교회의 세계 복음화 | 김성태 신부 |
제2강 | 선교회의 아시아 선교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3강 | 조선과 천주교의 만남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4강 | 조선 천주교회의 설립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5강 | 을사추조적발사건과 성직자 영입 운동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6강 | 진산사건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7강 | 주문모 신부의 입국과 교회 조직의 정비 | 방상근 연구실장 |
제8강 | 정사박해와 신자들의 신앙생활 | 방상근 연구실장 |
제9강 | 신유박해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10강 | 황사영과 〈백서〉 사건 | 이장우(세종대학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4 가을학기 2014.9.11~12.4 | ||
---|---|---|
주제 | 한국 천주교회사 강의Ⅱ-교회의 재건부터 병인박해까지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신학과 신앙 | 김성태 신부 |
제2강 | 교회의 재건과 성직자 청원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3강 | 교우촌과 정해박해 | 최선혜 연구교수(가톨릭대학교) |
제4강 | 조선 대목구의 설정 | 조현범 교수 |
제5강 | 브뤼기에르 주교와 모방 신부의 활동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6강 | 샤스탕 신부와 앵베르 주교의 활동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7강 | 기해박해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8강 | 김대건 신부의 활동과 순교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9강 | 최양업 신부의 생애와 활동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10강 | 병오박해 이후의 조선 교회 | 방상근 연구실장 |
제11강 | 병인박해 | 방상근 연구실장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5 봄학기 2015.3.12~6.4 | ||
---|---|---|
주제 | 개화기의 한국 천주교회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 김성태 신부 |
제2강 | 선교사의 재입국과 리델 주교의 활동 | 방상근 연구실장 |
제3강 | 블랑 주교와 한불조약의 체결 | 방상근 연구실장 |
제4강 | 본당과 신학교의 설립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5강 |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의 진출과 활동 | 오규현 수녀 |
제6강 | 교회와 근대사회의 충돌-교안(敎案)의 발생(1)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7강 | 교회와 근대사회의 충돌-교안(敎案)의 발생(2)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8강 | 선교의 자유와 조약(條約)들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9강 | 뮈텔 주교와 고종 | 방상근 연구실장 |
제10강 | 교육·출판·언론 활동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11강 | 안중근의 신앙과 민족운동 | 조광 교수(연구소 고문)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5 가을학기 2015.9.10~12.3 | ||
---|---|---|
주제 | 일제 시대의 한국 천주교회 | |
제1강 | 일제의 한국 병합과 종교 정책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2강 | 조선 대목구의 분할-서울·대구 대목구의 설정과 변화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3강 | 베네딕도회와 원산 대목구 | 방상근 연구실장 |
제4강 | 메리놀 외방선교회와 평양 대목구 | 김수태 교수(충남대학교) |
제5강 | 조선인 자치 교구의 설립 준비와 변화- 황해도·전주 감목 대리구, 광주·춘천 지목구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6강 | 79위의 시복과 순교자 현양 운동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7강 | 교육·출판·언론 활동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8강 | 일제하 가톨릭 여성사- 수녀회·평신도의 활동 | 방상근 연구실장 |
제9강 | 천주교회의 독립운동 | 최기영 교수(서강대학교) |
제10강 | 일제 말기 교회의 시련과 한국인 주교의 탄생-노기남 주교·홍용호 주교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6 봄학기 2016.3.10~6.9 | ||
---|---|---|
주제 | 병인박해 150주년 기념–인물, 자료, 사적지로 보는 병인박해 | |
제1강 | 베르뇌 주교와 병인박해 | 방상근 연구실장 |
제2강 | 흥선대원군과 천주교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3강 | 남종상의 삶과 죽음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4강 | 방상근 연구실장 | 방상근 연구실장 |
제5강 | 오페르트와 ‘금단의 나라 조선 | 방상근 연구실장 |
제6강 | ‘실록’을 통해 본 신미양요와 천주교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7강 | 서울 · 경기 지역의 병인박해와 사적지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8강 | 충청도의 병인박해와 사적지 | 차기진 소장 |
제9강 | 경상도의 병인박해와 사적지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10강 | 전라도의 병인박해와 사적지 | 서종태 교수(전주대학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6 가을학기 2016.9.22~12.8 | ||
---|---|---|
주제 |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한불조약과 교회 그리고 한·불 교류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 조한건 신부 |
제2강 | 한불조약 체결 이전의 한·불 관계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3강 | 한불조약의 체결 과정과 내용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4강 | 한불 수교 이후의 조선 교회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5강 | 프랑스 양대인과 교안(敎案) | 조한건 부소장 신부 |
제6강 | 개화기의 순교자들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7강 | 개화기 조선의 프랑스인 | 조한건 부소장 신부 |
제8강 | 모리스 쿠랑과 《한국서지》 | 백병근 선임연구원 |
제9강 | 프랑스인 여행기에 기록된 조선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10강 | 외규장각 도서 귀환 | 김규성 신부(인천가톨릭대학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7 봄학기 2017.3.9~6.8 | ||
---|---|---|
주제 | 박해 시기 교회 서적과 문서 | |
제1강 | 조선에 전래된 서학서 《천주실의》 | 조한건 신부 |
제2강 | 장약종의 한글 교리서 《주교요지》 | 조한건 신부 |
제3강 | 교황께 올리는 조선 신자들의 1811년과 1824년 편지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4강 | 최해두의 참회록 《자책》 | 박형무 박사(한국교회사연구동인회) |
제5강 | 정하상의 호교서 〈상재상서〉 | 조한건 신부 |
제6강 | 기해박해 순교자들의 순교자전 《기해일기》 | 홍연주 교수(이화여자대학교) |
제7강 | 김대건 신부의 서한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8강 | 한국 교회의 시편 《천주가사》 | 윤인선 교수(가톨릭대학교) |
제9강 | 한국 교회 최초의 지도서 《장주교윤시제우서》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10강 | 다블뤼 주교의 묵상서 《신명초행》 | 조한건 신부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7 가을학기 2017.9.21~12.7 | ||
---|---|---|
주제 | 박해 시기 교회 서적 깊이 읽기 | |
제1강 | 박해 시기 신자들은 어떻게 독서를 했는가? | 조한건 신부 |
제2강 | 《칠극》(1) | 김귀분 수녀(한국순교복자수녀회) |
제3강 | 《칠극》(2) | 김귀분 수녀 |
제4강 | 《칠극》(3) | 김귀분 수녀 |
제5강 | 역주자 특강-《천당직로》 | 정종득 신부(수원교회사연구소 소장) |
제6강 | 《천주성교공과》(1) | 조한건 신부 |
제7강 | 《천주성교공과》(2) | 조한건 신부 |
제8강 | 《천주성교공과》(3) | 조한건 신부 |
제9강 | 〈천주가사〉(1)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제10강 | 〈천주가사〉(1) | 양인성 선임연구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8 봄학기 2018.3.8~5.21 | ||
---|---|---|
주제 | 박해 시기~일제 강점기 대목구장과 평신도들 | |
제1강 | 조선 대목구 설립과 브뤼기에르 소(蘇) 주교 | 조현범 교수 |
제2강 | 조선에 첫발을 딛다-앵베르 범(范) 주교 | 이석원 박사(수원교회사연구소 연구실장) |
제3강 | 라파엘 호를 타고 오다-페레올 고(高) 주교 | 서종태 교수(전주대학교) |
제4강 | 병인박해로 순교하다-베르뇌 장(張) 주교 | 조한건 신부 |
제5강 | 역사와 서적을 정리하다-다블뤼 안(安) 주교 | 김규성 신부(인천가톨릭대학교) |
제6강 | 감옥에서도 사랑하다-리델 이(李) 주교 | 서종태 교수 |
제7강 | 신앙의 자유를 향해 블랑 백(白) 주교 | 조현범 교수 |
제8강 | 《뮈텔 주교 일기》에 대해-뮈텔 민(閔) 주교 | 김정환 신부(내포교회사연구소 소장) |
제9강 | 한국인 사제에게 계승권을 넘긴 라리보 원(元) 주교 | 원재연 박사(한국교회사연구소) |
제10강 | 한국인 최초의 대주교 노기남 바오로 | 조한건 신부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8 가을학기 2018.9.20~12.29 | ||
---|---|---|
주제 | 박해 시기~일제 강점기 평신도 회장들의 활동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개요: 박해 시기 회장의 역할과 주요 회장들 | 조한건 신부 |
제2강 | 서소문 밖 네거리 순교 터와 신유박해기 회장들의 활동-황사영, 최창현, 정약종 등 | 여진천 신부(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
제3강 | 기해박해기 주요 회장들의 활동-정하상, 남명혁, 남이관 등 | 여진천 신부 |
제4강 | 새남터 성지와 평신도 지도자들-현석문, 우세영, 정의배 등 | 강석진 신부(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
제5강 | 병오박해와 광희문 순교자들-임치백 및 김대건을 돕던 여인들 등 | 서종태 교수(전주대학교) |
제6강 | 병인박해기 주요 평신도들의 활동 | 방상근 박사(내포교회사연구소) |
제7강 | 황해도 출신 회장 김기호 요한(1824~1903) | 금경숙 박사(내포교회사연구소) |
제8강 | 대구의 평신도 사도 서상돈 아우구스티노(1850~1913) | 김정숙 교수(영남대학교) |
제9강 | 근현대 신앙의 증인, 애긍회의 정남규 세례자 요한(1886~1950?) | 방상근 박사(내포교회사연구소) |
제10강 | 남종삼 성인의 후손, 남상철 프란치스코(1891~1978) | 조한건 신부(연구소 소장)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9 봄학기 2019.3.14~5.30 | ||
---|---|---|
주제 | 사료(史料)로 보는 기해박해Ⅰ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개요: 기해박해 관련 사료들 | 조한건 신부 |
제2강 | 1839년 조선의 서울 박해 보고서 | 이석원 박사 |
제3강 | 〈기해척사윤음〉 | 조지형 교수(인천가톨릭대학교) |
제4강 | 조선 순교자와 순교자들에 관한 보고서 | 이민석 연구원 |
제5강 | 1839년 박해 순교자들의 행적 | 신주현 선임연구원 |
제6강 | 《기해일기》 | 방상근 박사(내포교회사연구소) |
제7강 | 신태보 〈옥중수기〉 | 현재우 박사(서강대학교) |
제8강 | 《기해·병오 목격 증언록》 | 조한건 신부 |
제9강 | 《기해·병오 목격 증언록》 | 홍연주 교수(이화여자대학교) |
제10강 | 《한국순교자 79위 순교 복자전》 | 김규성 신부 |
제11강 | 《회장규조》 | 조한건 신부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19 가을학기 2019.9.5~11,23 | ||
---|---|---|
주제 | 사료(史料)로 보는 기해박해Ⅱ | |
제1강 | 《조선 주요 순교자 약전》과 《조선 순교자 역사 비망기》 | 김규성 신부 |
제2강 | 관찬사료 검토(1)-《추안급국안》과 《포도청등록》 | 서종태 교수 |
제3강 | 관찬사료 검토(2)-《일성록》과 《승정원일기》 | 홍연주 교수(이화여자대학교) |
제4강 | 정하상 바오로와 〈상재상서〉 | 조지형 교수 |
제5강 | 김제준 이냐시오 가족 | 이민석 연구원 |
제6강 | 최경환 프란치스코 가족 | 신주현 선임연구원 |
제7강 | 유진길 아우구스티노, 조신철 가롤로 그리고 이 에메렌시아 | 원재연 박사 |
제8강 | 김성우 안토니오와 구산 성지 | 이석원 박사 |
제9강 | 기해박해 순교자들의 시복·시성 과정 | 전두병 신부(서초동 본당) |
제10강 | 기해박해 순교지 둘러보기 | 조한건 신부(연구소 소장)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공개대학
2006 봄학기 2006.3.9~6.29 | ||
---|---|---|
주제 | 한국 천주교회사의 새로운 이해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세계 교회사 속의 한국 천주교회 | 김성태 신부(연구소 소장) |
제2강 |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 이원순 교수(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제3강 | 조선 후기의 천주교와 조상 제사, 무엇이 문제인가 | 김가람 연구원 |
제4강 | 신유박해와 황사영 백서 사건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 김가람 연구원 |
제5강 | 조선 대목구의 설정과 서양 선교사의 입국 | 홍연주 연구원 |
제6강 | 기해박해-두 번째 피의 증거 | 홍연주 연구원 |
제7강 | 김대건 안드레아 성인-첫 번째 조선인 신부 | 최석우 몬시뇰(연구소 명예소장) |
제8강 | 백색 순교자 최양업 신부, 5000리 길을 걷다 | 조한건 신부(연구소 부소장) |
제9강 | 병인박해-10년간의 시련, 문호개방의 전주곡 | 방상근 책임연구원 |
제10강 | 한불조약 이후의 천주교-서양 선교사와 교안(敎案) | 양인성 연구원 |
제11강 | 한국인 성직자와 양성-1896년 최초의 사제 서품식 | 방상근 연구원 |
제12강 | 안중근 토마스의 신앙과 국권 회복 운동 | 양인성 연구원 |
제13강 | 일제 강점기의 조선 천주교회 | 백병근 연구원 |
제14강 | 침묵 속의 북한교회-또 다른 박해의 시작 | 이장우 연구실장 |
제15강 | 한국 천주교회 200년, 드디어 성인이 탄생하다 | 조한건 부소장 신부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06 가을학기 2006.9.7~11.30 | ||
---|---|---|
주제 | 교리문답서 다시 읽기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한국 교회 교리서의 변천 | 김성태 신부 |
제2강 | 박해 시대의 교리공부와 신앙생활 | 조한건 신부 |
제3강 | 천주교 요리 문답이 완성되기까지 | 조한건 신부 |
제4강 | 믿을 교리편(1)-사도신경 | 조한건 신부 |
제5강 | 믿을 교리편(2)-사도신경 | 조한건 신부 |
제6강 | 지킬 계명편(1)-십계명, 덕행 | 조한건 신부 |
제7강 | 지킬 계명편(2)-십계명, 덕행 | 조한건 신부 |
제8강 | 은총을 얻는 방법편(1)-기도와 성사 | 조한건 신부 |
제9강 | 은총을 얻는 방법편(2)-기도와 성사 | 조한건 신부 |
제10강 | 문답식 교리서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 조한건 신부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07 봄학기 2007.3.8~6.14 | ||
---|---|---|
주제 | 인물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천주교회사 | |
제1강 | 이벽: 새로운 하늘을 열망하다 | 이장우 연구실장 |
제2강 | 이승훈: 한국 천주교회의 문을 열다 | 방상근 책임연구원 |
제3강 | 김범우: 한국 천주교회 최초의 희생자 | 이장우 연구실장 |
제4강 | 이존창: 내포 지방의 사도 | 양인성 연구원 |
제5강 | 유항검: 호남 지방의 사도 | 홍연주 연구원 |
제6강 | 윤유일과 지황, 그리고 최인길: 초기 교회의 밀사들 | 방상근 책임연구원 |
제7강 | 강완숙: 최초의 여성 회장 | 김가람 연구원 |
제8강 | 정약종: 명도회 초대 회장 | 김가람 연구원 |
제9강 | 황사영: 소중화(小中華)의 세계를 벗어난 순교자 | 양인성 연구원 |
제10강 | 정하상: 조선교구 설정의 산파 | 홍연주 연구원 |
제11강 | 남종삼: 교회와 국가의 일치를 추구한 순교자 | 백병근 연구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07 가을학기 2007.9. 20~12.6 | ||
---|---|---|
주제 | 왜 평신도인가?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교회사 안의 평신도 | 김성태 신부 |
제2강 | 한국 천주교회 설립과 평신도 | 조한건 신부 |
제3강 | 성직자 부재 시기의 평신도 | 차기진 소장(양업교회사연구소) |
제4강 | 파리 외방전교회 선교사들과 평신도 지도자들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5강 | 신앙의 자유 획득 시기의 교회 재건과 평신도 | 마백락(영남교회사연구소) |
제6강 | 회장 제도의 확립 | 방상근 교수(세종대학교) |
제7강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평신도의 위상과 신자 생활 | 최석우 몬시뇰 |
제8강 |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한국의 평신도들에게 미친 영향 | 한홍순(서울대교구 평신도사도직협의회장) |
제9강 | 교회법이 정한 평신도의 신분과 위상 | 한영만 신부(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
제10강 | 본당 신부와 사목협의회 | 박선용 신부(반포 본당) |
제11강 | 한국 천주교회가 원하는 평신도 | 황종렬(미래사목연구소)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08 봄학기 2008.3. 24~6.16 | ||
---|---|---|
주제 |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Ⅰ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세계 교회사 속의 한국 천주교회 | |
제2강 | 이 땅에 주님이 오시다: 서학(西學)의 수용과 한국 천주교회의 탄생 | |
제3강 | 천주교, 조선 사회와 충돌하다: 신유박해와 황사영 〈백서〉 사건 | |
제4강 | 교회 재건을 위해 움직이다: 상교황서(上敎皇書)와 조선대목구의 설정 | |
제5강 | 두 번째 피의 증거: 기해박해 | |
제6강 | 방인 사제가 탄생하다: 김대건 안드레아 성인 | |
제7강 | 백색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 5000리 길을 걷다 | |
제8강 | 박해 속에 피어나는 순교의 꽃: 병인박해 | |
제9강 | 천주교, 신앙의 자유를 획득하다: 한불조약과 교안(敎案) | |
제10강 | 천주교인 안중근, 국권 회복을 위해 목숨을 바치다 |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08 가을학기 2008.9.11~11.20 | ||
---|---|---|
주제 |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Ⅱ-일제 강점기의 한국 천주교회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교회와 국가 | 김성태 신부 |
제2강 | 교세의 확대와 교구 분할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3강 | 교회의 교육 활동 | 백병근 연구원 |
제4강 | 언론·출판과 천주교 | 양인성 연구원 |
제5강 | 여성 및 사회복지 활동 | 김가람 연구원 |
제6강 | 79위 시복과 순교자 현양운동 | 김가람 연구원 |
제7강 | 교회의 선교 방침 | 이장우 연구실장 |
제8강 | 천주교회의 독립운동 | 양인성 연구원 |
제9강 | 신사참배와 천주교회 | 방상근 책임연구원 |
제10강 | 전시 체제하의 탄압과 천주교 | 백병근 연구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09 봄학기 2009.3.12~6.4 | ||
---|---|---|
주제 | 103위 성인의 생애와 활동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103위 성인의 현재적 의미 | 변우찬 신부 |
제2강 | 103위 성인의 시복·시성 과정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3강 | 다시 보는 시복식과 시성식 | 양인성 연구원 |
제4강 | 파리 외방전교회의 한국 성인들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5강 | 기해박해 순교성인(한국인)들의 생애와 활동(1)-남성 | 최선혜 책임연구원 |
제6강 | 기해박해 순교성인(한국인)들의 생애와 활동(2)-여성 | 최선혜 책임연구원 |
제7강 | 병인박해 순교성인(한국인)들의 생애와 활동 | 방상근 책임연구원 |
제8강 | 103위 성인과 성지 | 백병근 연구원 |
제9강 | 103위 성인이 남긴 기록과 유물 | 양인성 연구원 |
제10강 | 103위 성인 유해의 발굴과 분배 | 백병근 연구원 |
제11강 | 새로운 시복 추진과 시복·시성운동의 과제 | 방상근 책임연구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2009 가을학기 2009.9.17~12.3 | ||
---|---|---|
주제 | 한국의 성지, 어떻게 이해할까 | |
제1강 | 개강 미사 및 특강: 한국 성지의 현황과 문제점 | 변우찬 신부 |
제2강 | 새남터 성지와 삼성산 성지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3강 | 절두산 순교성지와 갑곶 성지 | 방상근 수석연구원 |
제4강 | 구산 성지와 남한산성 | 조현범 책임연구원 |
제5강 | 성거산 성지와 갈매못 성지, 황새바위 성지 | 방상근 수석연구원 |
제6강 | 배론 성지와 연풍 성지 | 최선혜 책임연구원 |
제7강 | 신나무골과 관덕정, 마원 성지와 여우목 성지 | 이장우 연구실장 |
제8강 | 치명자산 성지와 천호 성지 | 백병근 연구원 |
제9강 | 김범우 묘와 살티 성지 | 최선혜 책임연구원 |
제10강 | 관덕정과 황사평 묘 | 양인성 연구원 |
종강 미사 및 수료식 |
공개대학
제1기 한국교회사 공개대학 1988.4.21~6.28 | ||
---|---|---|
시대사 | ||
제1강 |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방법론 | 조광 교수(고려대학교) |
제2강 | 천주교의 동양 전래와 조선 | 최석우 신부(연구소 소장) |
제3강 | 조선 후기 사회 변동과 서학의 수용 | 이원순 교수(서울대학교) |
제4강 | 한국 천주교 신앙 공동체의 형성 | 조광 교수 |
제5강 | 천주교 박해의 원인 | 이원순 교수 |
제6강 | 천주교 박해의 경과 | 이원순 교수 |
제7강 | 조선교구 설정과 파리 외방전교회의 진출 | 최석우 소장 신부 |
제8강 | 박해기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과 생활 | 차기진 연구원(연구소) |
제9강 | 신앙 자유의 정착 과정: 1882~1904년 | 차기진 연구원 |
제10강 | 교안의 발생과 선교 활동 | 이원순 교수 |
제11강 | 애국 계몽 운동기의 천주교: 1905~1910년 | 최석우 신부 |
제12강 | 일제의 식민정책과 천주교의 항일 운동 | 최석우 신부 |
제13강 | 일제하 천주교의 위상 | 최석우 신부 |
제14강 | 8·15 광복과 천주교: 1945~1961년 | 조광 교수 |
제15강 | 한국 전쟁과 천주교 | 조광 교수 |
제16강 | 정치적 격변기 천주교회: 1948~1961년 | 조광 교수 |
제17강 |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천주교 | 오경환 신부(가톨릭대학교) |
제18강 | 현대 교회의 성장 과정 | 오경환 신부 |
제2기 한국교회사 공개대학 1988.10.5~12.2 | ||
---|---|---|
분류사 | ||
제1강 | 교회사란 무엇인가? | 김성태 신부(가톨릭대학교) |
제2강 | 한국교회사의 사료 | 조광 교수 |
제3강 | 한국교회사 연구사 | 이원순 교수 |
제4강 | 제국주의와 한국 교회 | 홍순호 교수(이화여자대학교) |
제5강 | 황사영 〈백서〉의 제 문제 | 이원순 교수 |
제6강 | 초기 교회의 여성 활동 | 김옥희 수녀(한국순교복자수녀회) |
제7강 | 김대건과 최양업 신부 | 최석우 소장 신부 |
제8강 | 배교자와 배교론 | 조광 교수 |
제9강 | 병인양요와 한불조약 | 홍순호 교수 |
제10강 | 개화기의 한국 천주교와 개신교 | 최석우 신부 |
제11강 | 뮈텔 주교와 한국 교회 | 차기진 연구원 |
제12강 | 안중근 론 | 최석우 신부 |
제13강 | 논객 윤형중 신부 | 최종고 교수(서울대학교) |
제14강 | 한국 교회의 사회 개발 운동 | 노길명 교수(고려대학교) |
제15강 | 바티칸 공의회와 한국 교회 | 조광 교수 |
제16강 | 분단과 한국 교회 | 노길명 교수 |
제17강 | 한국 교회의 출판문화 | 오세완 신부(매스컴위원회) |
제18강 | 한국 교회의 건축문화 | 김정신 교수(단국대학교) |
제3기 한국교회사 공개대학 1992.3.28~4.18 | ||
---|---|---|
제1강 | 천주교의 동양 전래와 조선 서학 | 이원순 교수 |
제2강 | 천주교 신앙 공동체의 형성과 초기 박해 | 차기진 책임연구원 |
제3강 | 신유박해 이후의 천주교와 신자들의 생활 | 김진소 신부(호남교회사연구소 소장) |
제4강 | 개항기의 한국 천주교회 | 노길명 교수 |
제5강 | 민족 통일과 한국 교회 | 조광 교수 |
제6강 | 일제 치하의 한국 천주교회 | 최석우 신부 |
제7강 | 한국 교회의 건축문화 | 김정신 교수 |
제8강 | 해방 이후의 한국 천주교회 | 오경환 신부 |
*한국교회사연구동인회·평신도사도직협의회 협찬 |
제4기 한국교회사 공개대학 1993. 8.13~8.14 | ||
---|---|---|
주제 | 민족사와 한국 가톨릭교회 | |
제1강 | 가톨릭교회 창립의 민족사적 의의 | 조광 교수 |
제2강 | 박해기 가톨릭 운동의 성격 | 김진소 신부 |
제3강 | 개항기 가톨릭교회의 민족운동 | 유토마스 신부(연구소 보좌) |
제4강 | 일제하 가톨릭교회의 민족운동 | 노길명 교수 |
제5강 | 광복 후 가톨릭교회의 사회참여 운동 | 홍순호 교수 |
제6강 | 한국 가톨릭교회의 민족사적 과제 | 오경환 신부(인천교구 총대리) |
제5기 한국교회사 공개대학 1995.8.25~9.29 | ||
---|---|---|
주제 | 한국 천주교회와 소공동체 | |
제1강 | 초대 교회 공동체에 관한 신학적 고찰 | 임병헌 신부(가톨릭대학교) |
제2강 | 한국 초대 교회에서의 평신도 활동 | 조광 교수 |
제3강 | 교우촌의 형성과 신앙생활 | 차기진 책임연구원 |
제4강 | 한국 교회 회장의 위치와 역할 | 최석우 신부 |
제5강 | 소공동체의 그리스도교적 의미와 전망 | 박현준(우리신학연구소 연구원) |
제6기 한국교회사 공개대학 1996.10.5/10.12 | ||
---|---|---|
주제 | 박해 시대 순교 성직자들의 생애와 신심 | |
제1강 | 박해 시대의 신학 교육과 성직자 양성 | 하성래 박사(수원가톨릭대학교) |
제2강 | 주문모 신부의 생애와 신심 | 차기진 연구실장(연구소) |
제3강 | 기해박해 성인·성직자들과 신심 | 두봉 주교(전 안동교구장) |
제4강 | 성 김대건 신부의 생애와 신심 | 김길수 교수(대구 효성가톨릭대학교) |
제5강 | 최양업 신부의 생애와 신심 | 장봉훈 신부(청주교구 배티 순교성지) |
제6강 | 병인박해의 순교 성직자들과 신심 | 최석우 신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