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교회사 연구총서 제11집 『규운 하성래 논문 선집』 간행

교회사 연구총서 제11

규운 하성래 논문 선집

 圭雲 河聲來 論文選集

 

 

지은이_ 하성래(河聲來)

출판사한국교회사연구소

분야교회사

형태_ 152 × 225mm(신국판)

제본양장본

면수_ 936

정가_ 50,000

발행일_ 2023년 12월 8 

ISBN_ 979-11-85700-44-1 94230

  

 

책 소개

한국교회사연구소에서 교회사 연구총서 제11집으로 펴낸 규운 하성래 논문 선집(圭雲 河聲來 論文選集)』은 평생을 국문학 분야에서 천주가사를 비롯하여 수많은 천주교 자료를 연구했던 규운 하성래 박사의 옥고들을 엄선해서 모아 엮었다. 교회사 자료를 문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하성래 박사는 한국 천주교가 한글 발전에 끼친 영향에 주목하고 한국교회가 남긴 자료에서 숨겨진 문학적 가치를 찾아내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한국 문학의 전통적 양식인 가사(歌辭) 가운데 그리스도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가사를 천주가사라 명명하고, 발굴과 연구에 끊임없이 정진함으로써 교회 안팎의 기대를 모았다. 또 옛 한문이나 한글로 된 자료들을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하도록 윤문하여 옛 천주교 자료의 대중화에도 기여한 바가 매우 크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차례

간행사

감사 말씀

1부 천주가사 연구

천주가사(天主歌辭) 연구 ()

정약전의 십계명가(十誡命歌)와 이벽의 천주공경가(天主恭敬歌)

김낙호(金樂浩)자신책가소고(小攷)

김기호(金起浩)성당가(聖堂歌)()

천주가사(天主歌辭)에 대하여

피악수선가(避惡修善歌)에 나타난 천주학 사상

 

2부 천주교회사 연구

한국어문학(韓國語文學)에 끼친 천주교의 영향

순교일기(殉敎日記)의 전기문학(傳記文學)으로서의 특성

한국 초기 천주교회 동정녀들의 여성사적 의의

황사영(黃嗣永)의 교회 활동과 순교(殉敎)에 대한 연구

충청도 지역의 천주교회 사적지와 그 의미

한국 천주교회의 한글 번역 활동

이가환(李家煥)과 서학(西學)과의 관계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마지막 회유문(誨諭文)에 나타난 영성

광영계록(廣營啓錄)의 천주교인 동향 보고서

성 김대건 신부와 굴암 및 은이

기해·병오 순교자 시복 조사 수속록에 나타난 성 김성우 안토니오에 관한 증언

이순이 루갈다의 옥중서한에 나타난 영성

한글 고문 자료 병인치명사적중 수원 순교자 행적 8

병인치명사적, 치명일기중 남양 순교자 4

충청수영(忠淸水營) 5위의 순교와 이장(移葬)

() 마리나한국 여성 최초의 가톨릭 수녀

죽산성지 순교자 연구

거제(巨濟)로 유배된 유항검의 딸 섬이(暹伊)의 삶

김종한(金宗漢)의 아브라함·이사악적 인간형

자책(自責)

 

연구 업적

색인

 

 

지은이 소개

지은이 : 하성래(河聲來)

1935년 전남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和順郡 二西面 野沙里)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이서초등학교, 광주 사범 병설 중학교, 광주고등학교, 조선대학교 문학과를 졸업하고, 1958~1963년 조선대 부속 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63~1964년 화순 이서고등공민학교를 설립하여 잠시 교장으로 있다가 1965~1973년 광주 살레시오고등학교와 1974~1985년 서울 대동상업고등학교 교사를 지냈으며, 1985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를 받았다. 1975~2000년 명지대·고려대·한양대·국민대·광운대·수원 가톨릭대 강사, 1990~2002년 안양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2001년 한국교회사연구소 연구위원, 2001~2003년 광진 신용협동조합 이사장, 2003년 수원교회사연구소 고문(연구위원), 2010년 천주교 수원교구 시복시성위원회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였고, 2013년 진양(진주) 하씨 대종문회 회장으로 추대되었.

 

 

책 속으로

한국 천주교회가 남긴 자료 가운데에는 한국 문학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도 훌륭한 작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박해 시기를 거치면서 그러한 문학을 온전히 꽃피울 수가 없었고, 이미 완성된 자료마저 사라진 것들이 많습니다. 이렇게 숨겨진 문학적 가치를 찾아내려는 노력이 모두 담겨 있기에, 이 분야를 연구하는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교회의 역사에서 전해지는 값진 자료를 하나의 작품으로 세밀하게 분석하는 문학적 연구 방법도 교회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 (간행사 중에서)

 

저는 본디 한국 가사 문학을 전공하였습니다.당시 학계에서는 유학자들의 은일가사(隱逸歌辭)를 비롯하여 불교가사(佛敎歌辭)·동학가사(東學歌辭)에 대해서는 연구자가 많았으나, 천주가사(天主歌辭)에 대해서는 그 존재조차 아는 이가 드문 편이었습니다. 그러나 19세기 들어와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양식인 가사(歌辭) 속에 유··(儒彿仙) 삼교(三敎)의 사상이 아니라, 이질적인 서구의 그리스도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가사가 등장하였습니다. 나는 이를 천주가사라 명명하고, 발굴과 연구에 정진하였습니. 천주가사 연구에 필요한 참고 자료는 한국교회사연구소의 자료를 주로 이용하였습니다. 이 점 거듭 감사드립니다. (감사 말씀 중에서)

 

천주교를 신봉하던 남인학자(南人學者)와 그 신도들에 의하여 많은 천주가사(天主歌辭)가 나타났다. 이 천주가사는 승려들의 불교가사(佛敎歌辭)와 성리학자(性理學者)들의 유교가사(儒敎歌辭),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의 동학가사(東學歌辭, 龍潭遺辭)와 마찬가지로 일종의 포교가사(布敎歌辭)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조선 후기 가사에 미친 영향이 크고, 또 공서파(攻西派)의 벽위가사(闢衛歌辭)와의 관계, 천주교의 토착화 등을 살피는 데 귀중한 자료가 아닐 수 없. (21)

 

19세기 한국 문학 중 가장 획기적인 사건은 천주가사(天主歌辭) 곧 천주찬가(天主讚歌)의 출현이었다. 1779(정조 3)경부터 출현하기 시작한 천주가사는 서양 사상을 최초로 수용한 문자요 국문학 작품이었다. 그것은 유··3교를 배경으로 산출된 종래의 한국 문학 작품에 비하면, 분명히 이질적인 서양의 기독교 사상을 바탕으로 삼고 있으며, 한국 문학 특히 시가 문학에 있어서 주제와 내용 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곧 종래 ()이 없는 한국의 문학에 신의 사상을 부여하고 신이 있는 문학으로 변모를 가져왔. (158)

 

천주가사는 한국 문학에 있어 주제·내용 면의 변화를 가져왔고 민중 속에 뿌리 깊이 박혀 애용되면서, 또 한국인의 사상에 새로이 신의 좌표를 설정해 주었고, 평면적인 의식 구조에 입체성을 부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한국의 문학사 및 한국의 문화사에서는 개신교가 들어온 이후의 기독교 문학에 관해서만 언급하고 있을 뿐, 그 이전 가톨리시즘(Catholicism)에 의하여 창작된 천주가사에 관하여는 별로 언급이 없었다. 그 까닭은 천주교가 도입된 이래 피 비린 박해를 받으면서 밖으로 공공연하게 노출되지 못하고 땅속에 묻혀버린 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한. (159)

 

허균과 같은 한시문(漢詩文)의 천재가 홍길동전에서 국문자를 사용한 것은 문학에 대한 허균의 자주적 의식이요 눈뜸이다. 종래 우리는 국문학사(國文學史)에서는 김만중(金萬重, 1637~1692)의 자국어(自國語) 선언을 높이 평가해 왔었다. 그러나 그보다 앞서 우리는 허균의 자국 문자(自國文字)에 대한 자주적 의식을 더욱 높이 평가해야 하리라 생각한다. 이는중세성(中世性)의 탈피를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중세성의 탈피 사상은 모두 허균의 서학 사상 수용 과정에서 얻어진 산물이라고 생각한. (215)

 

 

 

배포일 : 2023. 12. 28